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5) - 천양희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5) - 천양희 - 어린애가 첫 세상을 보듯 시 앞에 앉을 때 어떤 신인이 나한테 시를 보여주는데 소쩍새가 겨울에 울고 있더라구요. 소쩍새는 초여름부터 웁니다. 그래서 내가 없는 것을 상상력으로 만드는 것은 정말 좋지만 실제로 있는 것을 왜곡시키는 것은 안 됩.. 문학자료 2015.05.25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4) - 천양희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4) - 천양희 고정 관념을 깨고 자유로운 사유의 날개를 만일 이 키팅 같은 선생이 우리 나라에 있다면 아마 지금쯤 쫓겨났고 왕따당하고 있을 겁니다. 이 왜곡된 시 교육이 얼마나 나쁜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21세기 문학 행보를 늦추게 할지도 모릅니다. 앞으로 .. 문학자료 2015.05.25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3) - 천양희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3) - 천양희 - 내가 아닌 것은 연줄을 끊듯 버려라 어느 스승이 거문고를 앞에 두고 제자한테 물었습니다. 줄을 너무 당기니까 어떻느냐고 했더니 줄이 끊어집니다 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면 너무 느슨하게 하면 어떻더냐고 했더니 음이 잘 나지 않습니다 하고 .. 문학자료 2015.05.25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2) - 천양희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2) - 천양희 - 지하철 계단에서 번개 같은 시상을 매만지며 나는 메모지를 꼭 넣고 다닙니다. 그때그때 생각이 떠오르면 장소를 생각하지 않고 멈춰 서서 그 생각이 떠날까봐 메모를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눈총을 받은 적도 많습니다. 지하철 계단을 올라갈 때 .. 문학자료 2015.05.25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1) - 천양희 낯설게 하기의 아름다움 천양희 (시인) 저는 평소에 시는 언어로 짓는 사원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시(詩)라는 말의 한자어는 말씀 '언(言)'과 절 '사(寺)'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왜 절 사자를 거기에다 붙였을까요. 다 아시는 대로 절은 용맹정진하는 구도자들의 수행장이지 않습니까. .. 문학자료 2015.05.25
詩의 첫 행은 어떻게 하나 - 조병무 詩의 첫 행은 어떻게 하나 사랑하는 여러분, 이젠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갈 차례가 된 것 같습니다. 시를 쓴다는 것은 어딘가 떠돌아 다니는 어떤 기 같은 것을 붙잡아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럼 그 기 같은 것을 붙잡았을 때 어떤 곳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느냐라는 질문이 나옵니다... 문학자료 2014.12.05
[스크랩] [43강] 화자와 어조.3 - 마지막 회 [43강] 화자와 어조.3 강사/김영천 반갑습니다 오늘로서 42회에 걸친 시 창작강의를 마치겠습니다 그동안 열심히 참여해 함께 공부해 주신 님들께 감사합니다 한 번 들어서 모두를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이 문학 이론입니다. 부족한 부분은 늘 복습하시기를 바랍니다. 4.화자와 청자의 존재 .. 문학자료 2014.05.31
[스크랩] [42강] 화자와 어조.2 [42강] 화자와 어조.2 강사/김영천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화자의 몰개성론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제목이 개성론과 몰개성론으로 되어 있어 말이 어렵지 사실은 화자와 시인이 동일인이어서 시인의 개성이 그대로 화자로 투사되는 것은 개성론이고 시인과 화자가 다른 것을 몰개성.. 문학자료 2014.05.31
[스크랩] [41강] 화자와 어조.1 [41강] 화자와 어조.1 강사/김영천 강의가 어렵지요? 사실 여기에서 어려운 강의를 않는다면, 어디에서나 들을 수 있는 강의를 듣기 위해 여러분이 고생할 필요가 없지요. 반복해서 여러분께서 강의를 받으시면 일단 여러분은 시 창작 에 대해서만은 대단한 실력을 갖게 되실 것입니다. 화.. 문학자료 2014.05.31
[스크랩] [40강] 시와 상징.2 [40강] 시와 상징.2 강사/김영천 3)암시성 상징의 특성으로 일체성, 복합성에 이어서 암시성을 들 수가 있습니다. 상징언어는 보조관념으로 표현되어 원관념을 암시 함으로써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일체화합니다. 이 원섭님의 <秘密(비밀)>을 읽어보겠습니다. 머언 어느 나라로 가자 例(.. 문학자료 2014.05.31